Spring 프레임워크가 관리하는 객체를 의미한다.
이 객체들은 애플리케이션 콘텍스트 내에서 생성되고, 필요할 때마다 주입된다.
@ComponentScan에 의해서 Component가 자동으로 Scan 되어 해당 클래스를 Bean으로 등록해 준다.
Bean을 왜 수동으로 등록할까?
- 기술 지원 Bean : 기술적인 문제나 공통적인 관심사를 처리할 때 사용하는 객체들은 수동으로 등록하는 게 좋다.
- 비즈니스 로직 Bean 보다 수가 적기 때문에 수동으로 등록하기 좋다.
-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당 문제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쉽다.
Bean 수동 등록 예시
@Configuration // Spring IoC 컨테이너에 Bean으로 저장되게 함
public class PasswordConfig { // passwordConfig라는 이름으로 등록
@Bean // Bean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객체를 반환하는 메서드
public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(){ // passwordEncoder 이름으로 등록
return new BCryptPasswordEncoder(); // 비밀번호를 암호화 해주는 Hash 함수
}
}
간단하게 Bean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🖐️🖐️
'🔥스파르타 TIL (Spring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WT 활용하기 (1) (1) | 2025.02.10 |
---|---|
인증(Authentication)과 인가(Authorization) 란? (0) | 2025.02.09 |
JPA 란? (2) - Spring Data JPA (0) | 2025.02.08 |
JPA 란? (1) (0) | 2025.02.08 |
Entity란 무엇일까? (3) - Entity의 상태 (0) | 2025.02.07 |